전체 글 216

(하루 3분)네트워크 교실 4장 - 라우팅

IP 주소와 MAC 주소 인터넷 작업에서 데이터는 복수의 네트워크를 경유해서 최종 수신 컴퓨터까지 도달한다. 이때 경유하는 지점을 알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어떤 네트워크 A에서 B를 경유해서 C에 간다고 할 때, A에서 나온 데이터그램은 B로 들어가고, 이어서 C로 들어가는데, B로 들어간 시점에서 'C로 중계해줄 어딘가'의 장소, 최종 수신처인 C에 도착하기 위한 다음 수신처로 가야한다는 의미이다. 이를 MAC 주소로 지정해서 '다음으로 보낼 장소'를 결정한다. MAC 주소로 '다음에 보낼 장소'를 지정하고 거기에 도달하면 다시 MAC 주소로 '다음에 보낼 장소'를 지정한다. 이것을 반복해서 최종 수신처에 도달한다. MAC 주소는 '다음 수신처'이기 때문에 계속 변하지만, IP 주소는 데이터의 최..

2022-12-06 주식투자계획

투자할 종목(2022-12-06) 한 달 주식투자 금액 약 50만원 VTI, KODEX 미국S&P500(H), KODEX 미국나스닥100(H)(시장에 투자)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SPTL 금리인하대비 채권 투자 리얼티인컴(부동산, 배당) INDA, IEMG(미국 외 주식시장 투자) 삼성전자우(반도체, 우리나라 대장주) 인텔(반도체, 배당)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는 이유 : 개별주식에 투자하는 것보다 노력을 덜 들여도 된다. 개별주식에 투자해서 우수한 성과를 거둘 자신이 없다. 시장지수를 추종한다면 획기적인 수익은 거둘 수는 없겠지만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채권에 투자하는 이유 : 금리가 고점을 향해가고 있다. 채권 가격은 저점 근처에 도달했다. 지금부터 투자하기 시작한다면 금리..

일상 2022.12.06

(하루 3분)네트워크 교실 3장 - IP 어드레싱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좀 더 정확히 정의하자면, 라우터와 라우터 간의 범위라고 생각할 수 있다. 세그먼트 너머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패킷 교환기인 라우터를 지나서 다른 세그먼트로 데이터를 보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3계층은 세그먼트 간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계층이다. 하여 3계층에서 네트워크는 '라우터와 라우터로 분배된 컴퓨터 그룹'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인터넷 작업 다시 말하자면 3계층에서 네트워크란 컴퓨터의 그룹이고, 이는 2계층에서 언급했던 세그먼트와 같은 범위를 의미한다. 즉, 네트워크 내의 컴퓨터끼리는 2계층에 의해 멀티액세스 네트워크 혹은 포인트 투 포인트 네트워크의 형태로 컴퓨터가 연결되어있다. 때문에 1계층에서 신호를 전달하고 2계층에서 그것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하루 3분)네트워크 교실 2장 - 신호의 전송과 충돌

1계층 : 전기 · 기계적인 전송 OSI 참조 모델에서 1계층은 통신 매체에 데이터를 보내는 것과, 그 데이터가 지나는 것에 대한 순서와 규칙이라고 배웠다. 여기서 통신 매체란 케이블을 의미하고, 데이터는 케이블을 통해 신호의 형태로 흐른다. 즉,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기기에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1계층의 역할이다. 통신 매체 통신 매체는 신호가 지나는 파이프 역할을 하는 것을 지칭하며, 케이블이 이를 담당하고 있다. 무선과 유선 방식이 있는데, 유선 방식은 케이블을 사용해 신호를 보냄으로써 수신처까지 데이터가 도달하는 방식으로, 이때 사용하는 케이블은 전기신호를 사용하는 동선과 광신호를 사용하는 광파이버가 있다. 동선 케이블 중 현재 자주 사용되는 것은 UTP(Unshielded Twist Pair ..

(하루 3분)네트워크 교실 1장 - 네트워크 기초 지식

네트워크란? 무언가와 무언가가 무언가에 의해 연결되어서 무언가를 주고받는 것. => 컴퓨터 네트워크란? 컴퓨터와 컴퓨터가 통신 매체로 연결되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고, 공유한 리소스를 바탕으로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도 리소스를 공유하는데, 이때 공유하는 리소스를 데이터(Data)라고 부른다. 데이터는 비트(Bit)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란 컴퓨터와 컴퓨터가 통신 매체로 연결되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라고 했다. 이때 컴퓨터와 통신 매체를 연결하는 것을 인터페이스(Interface)라고 하며,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통신할 때) 사용하는 규칙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한다. 때문에 상호 간에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게시글 작성 규칙

aliases : [작성 규칙, 규칙] 2022-11-29(화) 초안 작성 1. 대분류는 블로그 내 카테고리를, 중분류, 소분류, 키워드는 태그 기능을 이용한다. 예) '인터럽트'에 대해 다룬 게시글의 경우 IT 카테고리에 게시글을 작성한다. 중분류의 경우 #운영체제 태그를 통해 분류할 수 있다. 소분류의 경우 #인터럽트 태그를 통해 분류할 수 있다. 키워드의 경우, #커널, #컨트롤러,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하드웨어 인터럽트, #인터럽트 벡터, #인터럽트 핸들러 등을 게시글의 키워드라 할 수 있다. '인터럽트 핸들링'에 대해 다룬 게시글의 경우 IT 카테고리에 게시글을 작성한다. 중분류의 경우 #운영체제 태그를 통해 분류할 수 있다. 소분류의 경우 #인터럽트, #인터럽트 핸들링 태그를 통해 분류할 ..

공지사항 2022.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