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페이스 3

Difference Between API Gateway and Load Balancer

System Design Interview Basics: Difference Between API Gateway and Load Balancer Often, we come across software architectural components that are part of every system design and feel as though we don’t have much… levelup.gitconnected.com 종종 우리는 시스템 디자인의 부분을 이루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구성요소를 접하게 되고, 우리는 그때마다 접하는 것들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것 같다는, 애매한 느낌을 받는다. API 게이트웨이와 로드 밸런서도 그러한 예시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로드 밸런서와 API 게이트웨이를..

(하루 3분)네트워크 교실 2장 - 신호의 전송과 충돌

1계층 : 전기 · 기계적인 전송 OSI 참조 모델에서 1계층은 통신 매체에 데이터를 보내는 것과, 그 데이터가 지나는 것에 대한 순서와 규칙이라고 배웠다. 여기서 통신 매체란 케이블을 의미하고, 데이터는 케이블을 통해 신호의 형태로 흐른다. 즉,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기기에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1계층의 역할이다. 통신 매체 통신 매체는 신호가 지나는 파이프 역할을 하는 것을 지칭하며, 케이블이 이를 담당하고 있다. 무선과 유선 방식이 있는데, 유선 방식은 케이블을 사용해 신호를 보냄으로써 수신처까지 데이터가 도달하는 방식으로, 이때 사용하는 케이블은 전기신호를 사용하는 동선과 광신호를 사용하는 광파이버가 있다. 동선 케이블 중 현재 자주 사용되는 것은 UTP(Unshielded Twist Pair ..

(하루 3분)네트워크 교실 1장 - 네트워크 기초 지식

네트워크란? 무언가와 무언가가 무언가에 의해 연결되어서 무언가를 주고받는 것. => 컴퓨터 네트워크란? 컴퓨터와 컴퓨터가 통신 매체로 연결되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고, 공유한 리소스를 바탕으로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도 리소스를 공유하는데, 이때 공유하는 리소스를 데이터(Data)라고 부른다. 데이터는 비트(Bit)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란 컴퓨터와 컴퓨터가 통신 매체로 연결되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라고 했다. 이때 컴퓨터와 통신 매체를 연결하는 것을 인터페이스(Interface)라고 하며,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통신할 때) 사용하는 규칙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한다. 때문에 상호 간에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