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군
보통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프로토콜은 한 개가 아니라 여러 개이며, 각각이 독립적이다. 하지만 각 프로토콜이 완전히 독립적이면 상하 계층의 연결이 되지 않기 때문에 곤란하다. 때문에 상위 계층 프로토콜이 하위 계층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하위 계층 프로토콜이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존재한다. 이러한 구조, 또는 프로토콜과 프로토콜의 중개역을 인터페이스라고 부른다. 상하 프로토콜의 인터페이스를 결정해두면 프로토콜 그룹이 되는데, 이것을 프로토콜군(Protocol Sutie)라고 부른다.
TCP/IP 프로토콜군
TCP 및 IP라고 불리우는 프로토콜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일련의 프로토콜들을 총칭하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TCP/IP라고 하면, TCP와 IP의 두 프로토콜만을 지칭하지 않고, 관련되는 프로토콜 군(protocol suite)을 총칭한다. TCP/IP 프로토콜군은 IETF(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것으로, 이곳에서 제정한 문서를 RFC(Request For Comments)라고 부른다. 즉, IETF의 RFC에 의해 정해진 것이 TCP/IP 프로토콜군이라고 할 수 있고, 이는 TCP/IP 모델을 베이스로 하고 있다.
TCP/IP 모델
데이터 통신이라는 관점에서 OSI 참조 모델과 TCP/IP 모델을 비교하면, TCP/IP 모델의 4계층은 OSI 참조 모델의 5~7계층과 비슷하고, 3계층은 4계층과, 2계층은 3계층과, 1계층은 1~2계층과비슷하다.
4계ᅎᅳᆼ | 애플리케이션 계층 |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홈페이지 열람), FTP(File Transfer Protocol: 파일전송),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전자메일 송수신) 등 |
3계층 | 트랜스포트계층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
2계ᅎᅳᆼ | 인터넷계층 | IP(Internet Protocol)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1계층 | 인터페이스 계층 | 이더넷(Ethernet) 프레임 릴레이 (Frame Relay) PPP(Point to Point Protocol) 등 |
관련된 글
참고문헌
- 아미노 에이지. 2016. (하루 3분)네트워크 교실:인터넷 박사가 조교 넷군에게 알려주는 왕초보를 위한 네트워크 교실. 김현주 역. 서울:영진닷컴.
-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205
'프로그래밍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w the Internet Actually Works (0) | 2023.05.04 |
---|---|
캡슐화 (0) | 2023.01.24 |
OSI 참조 모델 (0) | 2023.01.19 |
네트워크 구분 (0) | 2023.01.12 |
통신에 필요한 기기 (0) | 2023.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