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1년 전에 컴활 공부하면서 작성했던 자료입니다. 잊고 지냈는데 발견한 김에 다른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블로그에 업로드합
컴퓨터는 ①하드웨어와 ②소프트웨어로 나누어지며, 하드웨어는 우리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컴퓨터의 부품, cpu나 주기억장치, 주변장치 등을 의미한다.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구분된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컴퓨터 하드웨어를 동작,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로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을 위한 모든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일반 용어이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응용 소프트웨어와는 반대의 개념으로 응용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운영체제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한 분류이다. 운영체제로 분류되는 것으로는 Windows, Dos, Linux, Unix 등이 있다.
운영체제의 발달 과정은 일괄 처리(Batch Processing) - 다중 프로그래밍(Multi - Programming) - 실시간 처리(RealTime Processing) - 시분할 처리(Time Sharing) - 분산 처리(Distributed Processing) - 다중 처리 시스템(Multi - Processing) 순으로 이루어졌다.
- 일괄 처리 : 일정한 기간 동안 모은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 처리하는 동안 다른 작업은 할 수 없다.
- 다중 프로그래밍 : 하나의 CPU와 주기억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 실제 CPU에서는 하나의 프로그램만 실행되며, 나머지 프로그램은 입출력을 수행하거나 대기상태에 있다. 메모리에 여러 프로세스를 수용해야 하므로 메모리 관리가 복잡해지며, 실행 대기중인 프로세스간에 처리순서를 스케줄링해야 한다.
- 실시간 처리 : 데이터 발생 즉시, 또는 데이터 처리 요구가 있는 즉시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방식. 프로세스를 실행한 후 다음 프로세스에 대한 대기와 실행 등을 제어할 수 있다.
- 시분할 처리 : 시간을 나눠서 처리하는 방식. 하나의 CPU는 같은 시점에서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CPU의 전체 사용 시간을 작은 작업 시간량(Time Slice)로 나누어서 그 시간량 동안만 번갈아 가면서 CPU를 할당하여 각 작업을 처리한다.
- 분산 처리 : 여러개의 컴퓨터(프로세서)를 통신 회선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
- 다중 처리 시스템 : 여러개의 CPU와 하나의 주기억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 하나의 CPU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CPU를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과 안정성이 높다.
다중 프로그래밍과 다중 처리 시스템은 다른 것임을 주의하기.
운영체제는 ①사용자가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②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준비를 하며, ③컴퓨터의 자원을 관리하고, ④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운영체제는 처리능력, 신뢰도, 사용가능도의 향상과 응답시간의 단축에 목적을 둔다. 처리능력은 시스템이 일정기간 내에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응답시간은 일의 처리를 컴퓨터에 지시하고 나서 결과를 얻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신뢰도는 시스템이 주어진 문제를 얼마나 정확하게 처리하는지, 사용가능도는 컴퓨터 시스템 내의 한정된 자원을 여러 사용자가 요구할 때, 신속하고 충분히 지원해 줄 수 있는 지에 달려있다.
운영체제는 제어 프로그램과 처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프로그램은 시스템의 작동을 감시하고(Supervisor), 작업 순서를 지정하며(Job Control Program), 데이터를 관리한다. 처리 프로그램은 제어 프로그램의 지시를 받아 사용자가 요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비스 프로그램(Service Program), 문제처리 프로그램(Problem Program), 언어 번역 프로그램(Language Translator Program)이 있다.
언어 번역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소스 코드를 담고 있는 원시 프로그램(Source Program)이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번역(Compile)되어 목적 프로그램(Object Program)이 생성된다. 링커(Linker)를 통해 여러 목적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만들기 위해 링크(Link)하여 실행파일을 생성하고, 로드 모듈(Load Module), 로더가 실행 파일을 주기억 장치(RAM)에 로딩(적재)하여 CPU가 실행파일을 실행하도록 한다.
한글 Windows 10의 특징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ical User Interface) 사용 : 키보드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아이콘이나 메뉴를 마우스로 선택하여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작업 환경
- 선점형 멀티태스킹(Preemptive Multi-tasking) : 운영체제가 각 작업의 CPU 이용 시간을 제어하여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시키고, 모든 시스템 자원을 반환하는 멀티태스킹 운영 방식
- 플러그 앤 플레이(PnP; Plug & Play) : 컴퓨터 시스템에 하드웨어를 설치했을 때, 해당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 환경을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것
-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 : 다른 여러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자나 그림 등의 개체(Object)를 현재 작성 중인 문서에 자유롭게 연결(Linking)하거나 삽입(Embedding)하여 편집할 수 있게 하는 기능
- 255자의 긴 파일 이름 : 최대 255자의 긴 파일 이름을 지정할 수 있고, NTFS에서는 유니코드 문자를 지원하여 세계 여러 문자를 파일 이름에 사용할 수 있으며, 파일 이름으로는 \ / : * ? " < > | 를 제외한 모든 문자 및 공백을 사용할 수 있음
그 외 기능들
- 점프목록 : 작업 표시줄에서 바로가기 메뉴를 누르면 최근 작업한 항목이 표시되는 기능
- 에어로 피크 : 작업표시줄 가장자리 우측 하단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바탕화면이 보이는 기능
- 에어로 스냅 : 창의 제목 표시를 클릭한 상태로 화면 끝으로 가져가면 창의 크기가 조절되는 기능
- 에어로 쉐이크 : 창의 제목 표시를 클릭한 상태로 흔들면 클릭한 화면을 제외하고 모두 최소화 되는 기능
- 라이브러리 : 엑세스 가능한 파일을 위치 상관없이 모아놓는 기능
- 장치 스테이지 : 디지털 기기를 pc에 연결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
파일 시스템이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는 파일에 대해 수정, 삭제, 추가, 검색 등의 작업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관리 시스템으로 FAT(16), FAT32, NTFS가 있다. 인식할 수 있는 파일의 최대 크기는 순서대로 2GB, 4GB, 16TB이다. FAT는 MS-DOS 및 기타 Windows 기반의 운영체제에서 파일을 구성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을 말한다. FAT32는 FAT에서 파생된 것으로 FAT보다 큰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있고, FAT에 비해 클러스터 크기가 작으므로 하드디스크의 공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NTFS는 Windows10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으로 성능 및 공간 활용, 보안, 안정성 면에서 FAT 파일 시스템에 비해 뛰어난 고급 기능을 제공하며, 시스템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글 Windows 10 시작
안전모드 부팅은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하고자 하는 부팅으로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 바이러스 감염 우려 적다. (방법 : 시작 - Windows 관리도구 - 시스템구성) 여러 운영체제가 깔려있는 경우 멀티부팅을 할 수 있다.
한글 Windows 10의 종료
종료 버튼 선택 시 절전, 시스템종료, 다시시작 중 하나 선택 가능
바로가기 키로 종료(Alt+F4, 사용자 전환, 로그아웃, 절전, 시스템종류, 다시시작 중 하나 선택 가능)
시작의 바로가기 메뉴를 이용하여 종료가능
한글 윈도우의 종료 예약 및 취소(shutdown /s /t 1800 -> 30분 후 컴퓨터 종료
/s : 종료
/t 1800 : 1800초 후에
기능키
F2 | 폴더 및 파일의 이름 변경 |
F3 | 탐색기에서 검색 상자 선택 |
F4 | 탐색기에서 주소 표시줄 목록 표시 |
F5 | 최신 정보로 고침 |
F6 | 창이나 바탕 화면의 화면 요소들을 순환 |
F10 | 활성 메뉴 모음 활성화 |
Alt + ...
→, ← |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을 순서대로 전환 |
Esc |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을 순서대로 전환 |
Tab |
|
Enter | 선택된 항목의 속성 대화상자를 나타냄 |
Spacebar | 활성창의 바로 가기 메뉴 표시 |
F4 |
|
Print Screen + ... |
|
Ctrl + ...
X | 잘라내기 |
A | 폴더 및 파일 모두 선택 |
Esc | [시작]을 클릭한 것처럼 [시작] 메뉴 표시 |
Shift + Esc | Windows 작업 관리자 대화상자를 호출하여 문제가 있는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함 |
마우스 스크롤 | 바탕 화면의 아이콘 크기 변경 |
z | 실행 취소 |
Shift + Esc | 작업관리자 |
Shift + ...
Delete | 폴더나 파일을 휴지통을 거치지 않고 바로 삭제 |
F10 | 바로 가기 메뉴 표시 |
CD 삽입 | CD의 자동 실행 기능이 작동하지 않음 |
Windows 로고키 + ...
로고키 | [시작]을 클릭한 것처럼 [시작] 메뉴 표시 |
D | 열려 있는 모든 창과 대화상자를 최소화하거나 이전 크기로 나타냄 |
E | 탐색기 실행 |
L | 컴퓨터를 잠그거나 사용자를 전환함 |
M / Shift+M | 열려 있는 모든 창을 최소화/이전 크기로 나타냄 |
R | '실행' 창을 나타냄 |
T | 작업 표시줄의 프로그램을 차례로 선택 |
Home | 선택된 창을 제외한 모든 창을 최소화 |
↑/←/→/↓ | 선택된 창 최대화/ 화면 왼쪽으로 최대화/ 화면 오른쪽으로 최대화 / 창 최소화(창 최대화일 떄는 이전 크기로) |
Ctrl + F | '컴퓨터 찾기' 대화상자를 나타냄 |
+ / - / Esc | 돋보기 실행 및 확대 / 축소 / 종료 |
Pause/Break | '시스템' 창을 나타냄 |
토글키
Caps Lock | 대문자 / 소문자 전환 |
Num Lock | 숫자 / 이동 |
Insert | 삽입 상태 / 수정 상태 |
Scroll Lock | 화면 이동 / 해제 |
메뉴및창사용법
1 조절메뉴단추 최소화최대화....
2 빠른실행모음
3 빠르게 실행할 도구 지정, 체크할 수 있는 명령어 나옴
4 최소화
5 최대화/이전크기로복원
6 닫기
7 메뉴최소화, CTRL + F11
8 탭, 무엇을 누르느냐에 따라 내용 다름
9 해당 탭에 대한 내용
10 그룹
바로가기 메뉴(shift + F10) : 마우스 우클릭 시 나오는 메뉴
프로그램 강제종료는 작업관리자에서 강제종료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클릭한 뒤 작업끝내기를 하면 된다.
바탕 화면은 바탕화면, 휴지통, 바로가기 아이콘, 시작단추, 검색창, 작업표시줄로 구성되어있다.
바로가기 아이콘은 마우스 우클릭 후 바로 가기 만들기, 마우스 우클릭 후 드래그, 또는 복사 붙여넣기를 통해 생성할 수 있다. 모든 개체에 대해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으며 바로 가기 아이콘의 확장자는 .lnk이다.
작업표시줄
작업표시줄은 화면 우측 하단의 바를 의미하며, 시작단추, 검색창, 작업보기, 작업표시줄, 숨겨진 아이콘 표시로 구성되어있다. ①시작 단추의 단축키는 CTRL+ESC, 또는 Windows 로고키이다. ② 검색창의 단축키는 Windows 로고 + S이며, 해당 창에 검색어를 입력 시 검색어와 관련된 프로그램과 웹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③ 현재 작업중인 또는 작업표시줄에 고정시켜놓은 폴더와 프로그램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작업 중인 폴더 또는 프로그램은 Windows 로고 + TAP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작업표시줄에 표시된 프로그램을 Shift + 좌클릭하면 바로 실행 가능하며, CTRL+Shift+좌클릭 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가능하다. ④ 작업 표시줄에서는 현재 작업 중인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 표시줄에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고정시켜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작업표시줄에 나타난 프로그램을 우클릭하여 작업표시줄에 고정하거나 프로그램 아이콘을 작업표시줄에 드래그하여 고정할 수 있다. 작업표시줄의 빈 공간을 우클릭하면 나오는 도구모음을 클릭하면 주소, 링크, 바탕화면, 새 도구모음이라는 글자를 확인할 수 있다. 주소는 해당 창에 주소를 입력하면 웹사이트로 바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링크는 링크에 웹사이트를 추가하여 빠르게 접속할 수 있게 하고, 바탕화면을 통해 바탕화면에 있는 프로그램, 파일, 폴더를 빠르게 실행할 수 있으며, 새 도구모음을 통해 자주 사용하는 폴더를 추가할 수 있다. 이외의 작업표시줄에 관한 설정은 작업표시줄의 빈공간을 우클릭한 후 작업표시줄 설정에서 설정할 수 있다. 작업표시줄을 우클릭하면 작업표시줄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잠금이 해제되면 작업표시줄의 위치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⑤ 숨겨진 아이콘 표시를 클릭하면 시스템 아이콘들을 확인할 수 있다. ⑥ 우측 끝을 누르면 모든 창이 최소화되며 바탕 화면이 표시된다.
시작 메뉴
시작 메뉴는 화면 좌측 하단의 Windows 로고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키보드의 Windows 로고 키, 또는 Ctrl + Esc를 통해 시작할 수 있다. 시작 메뉴는 확장단추, 최근에 추가한 앱, 자주 사용하는 앱, 앱 목록, 사용자 계정, 설정, 전원, 시작화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확장단추를 클릭하면 모든 항목의 이름이 표시된다. 시작 메뉴에서 알파벳이나 한글 자음을 입력하여 찾고 싶은 프로그램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시작메뉴에 관한 설정은 화면의 좌측 하단의 Windows 로고를 우클릭 후 설정을 누르면 나오는 개인설정의 시작 메뉴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시작 프로그램
시작 프로그램은 Windows가 시작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작업 관리자의 시작 프로그램 메뉴에서 확인 가능하다. 해당 메뉴에서 Windows가 시작될 때 시작 프로그램을 실행할 지 말 지를 설정할 수 있다. 시작프로그램 폴더의 경로는 C:\Users\사용자명\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Startup에 위치하며 해당 폴더에 시작 프로그램으로 설정하고 싶은 것을 넣을 수 있다.
레지스트리(regedit)
레지스트리에는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환경설정 및 각종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검색 창에 regedit를 입력하면 나오는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편집할 수 있다.
작업관리자
작업관리자는 Ctrl+Shift+Esc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프로세스 탭에서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앱이나 프로세스, 그리고 하드웨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성능에서는 하드웨어의 상태를 더욱 자세히 확인할 수 있으며, 앱 기록에서는 각 앱의 사용 리소스, CPU 시간, 네트워크, 또는 현재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 탐색기(explorer)
파일 탐색기는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판, 응용 프로그램 파일 및 폴더를 관리할 수 있는 곳으로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파일이나 폴더,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련된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파일과 폴더를 계층(트리) 구조로 표시한다(계층적 디렉토리). 파일 탐색기는 ①조절메뉴 단추 ② 빠른실행도구 모음③ 빠른실행도구 모음 사용자 지정단추 ④ 제목표시줄 ⑤ 창조절단추 ⑥ 리본최소화단추 ⑦ 도움말 ⑧ 리본 메뉴 ⑨ 폴더 이동 단추 ⑩ 주소표시줄 ⑪ 검색상자 ⑫ 탐색 창 ⑬ 파일 목록 창 ⑭ 항목 수 표시 ⑮ 자세히 단추 ⑯ 큰 아이콘으로 구성되어있다. 바탕화면의 컴퓨터 아이콘을 더블클릭하거나 시작 단추를 우클릭하여 실행하거나 검색 창에 검색하여 실행할 수 있다. 리본 메뉴는 파일 탭, 홈 탭, 공유 탭, 보기 탭으로 구성되어 있다. 홈 탭은 클립보드(복사, 붙여넣기, 잘라내기 등), 구성(이동, 복사, 삭제), 새로 만들기, 열기, 선택 그룹으로 구성되어있다. 공유 탭은 보내기, 공유 대상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기 탭은 창, 레이아웃, 현재 보기, 표시/숨기기 그룹으로 구성되어있다. 파일 탐색기에서 드라이브(ex : 로컬 디스크 C)를 클릭하면 관리 탭이 나오고, 관리 탭은 관리 그룹과 미디어 그룹으로 구성되어있다. 내 PC를 클릭하면 컴퓨터 탭이 나오고, 컴퓨터 탭은 위치 그룹, 네트워크 그룹, 시스템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러 파일 선택 시 Ctrl+클릭을 통해 비연속적으로 나열된 파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 Shift+클릭을 통해 연속적으로 나열된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메뉴에서 선택 영역 반전이 가능하다. Home 키를 누르면 현재 창의 맨 위를 표시하고, BackSpace를 누르면 상위 폴더로 이동한다.
SHAPE \* MERGEFORMAT
폴더
폴더 옵션은 일반 탭, 보기 탭, 검색 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파일 탐색기 보기 탭의 옵션을 통해 진입할 수 있다. 일반 탭에서는 클릭하여 열기나 최근 사용 파일 및 폴더 표시(개인정보 보호)에 관해 설정할 수 있다. 보기 탭에서는 숨김 파일, 폴더 또는 드라이버 표시, 운영체제 파일 숨기기나 확장명 숨기기에 관해 설정할 수 있다. 검색 탭에서는 검색 시 색인 사용 여부나 색인을 사용하지 않을 때 검색 조건에 관해 설정할 수 있다.
연결프로그램 : 확장자에 따라 자동으로 정해진다. 우클릭 후 원하는 연결 프로그램을 지정할 수 있다.
검색 창을 누르면 검색 탭이 나온다. 검색 탭은 위치, 구체화, 옵션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에서 검색할 위치를 선택하고, 구체화 그룹에서 찾을 파일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 * : / \ < > " | 는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이름을 바꾸는 도중에 Esc를 누르면 취소할 수 있다. 리본 메뉴(홈 - 구성 - 이름바꾸기)를 이용하거나, 바로 가기 키(F2)를 이용하거나, 바로 가기 메뉴를 이용하거나 마우스를 이용해서 파일의 이름을 바꿀 수 있다.
클립보드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관해 두는 임시 저장 공간으로, 서로 다른 응용 프로그램 간에 데이터를 쉽게 전달할 수 있다. 시스템을 재시작하면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는 지워진다.
라이브러리
라이브러리는 여러 위치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모아서 관리하는 가상의 폴더라 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 메뉴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통해 얼마든지 새로운 라이브러리를 생성할 수 있다. 폴더를 우클릭 후 라이브러리에 포함을 눌러 라이브러리에 폴더를 추가할 수 있다. 최대 50개까지 폴더를 포함할 수 있다.
휴지통
휴지통은 삭제된 파일이나 폴더가 임시 보관되는 장소로, 필요 시 복원 가능하다. 복원되는 위치는 파일이 원래 위치하던 곳으로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하여 복원할 수 있다. 휴지통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휴지통의 바로가기 메뉴는 열기, 휴지통 비우기, 시작화면에 고정, 바로가기 만들기, 이름 바꾸기, 속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휴지통의 속성에서는 사용자 지정 크기를 설정하여 휴지통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고 드라이브마다 휴지통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 설정을 통해 파일을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삭제할 때 바로 제거할 지 설정하거나 삭제 확인 대화 상자 표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는 경우는 완전 삭제로 지우는 경우, 플로피 디스크, USB, DOS, 네트워크 모드에서 지우는 경우, 휴지통 비우기를 한 경우, Shift+Delete, 같은 이름으로 덮어 쓴 경우가 있다.
Windows 보조프로그램
Windows 보조프로그램으로는 메모장, 워드패드, 그림판, 계산기, 실행, 캡처 도구, 명령 프롬프트, 돋보기, 스티커 메모가 있다.
메모장은 간단한 문서를 작성할 때 사용하며 확장자는 기본적으로 txt이다. 메모장을 통해 html 문서를 만들 수 있으나 OLE 개체 삽입은 불가능하다. 개체 삽입은 워드패드의 경우 가능하다. 개체 삽입은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또 다른 프로그램을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첫 번쨰 칸에 .LOG를 입력하면 시간 날짜를 삽입할 수 있고, F5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글자색을 설정할 수 없고 부분변경이 불가능하다.
워드패드는 메모장보다 더 긴 문서를 작성할 때 사용하며 확장자는 기본적으로 rtf이다. 개체삽입이 가능하다.
그림판의 확장자는 png이다. Shift를 누르고 사각형, 타원 툴을 쓰면 정사각형, 원을 그릴 수 있고, 직선 툴을 사용할 때 직선의 기울기가 45도 단위로 바뀐다. 그림판의 그림을 메뉴에서 배경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계산기는 표준, 공학용, 프로그래머용 세 가지를 제공한다. 순서대로 Alt+1, Alt+2, Alt+3을 통해 진입할 수 있다.
실행에 파일의 이름을 적으면 특정 파일, 폴더, 웹사이트를 실행할 수 있다. ex: cmd;명령프롬프트, regedit, control
캡처 도구는 화면의 일부분을 캡처하는 프로그램이다. 자유형 캡처, 사각형 캡처, 창 캡처, 전체 캡처를 지원한다.
명령 프롬프트는 실행창에서 cmd를 입력하여 실행할 수 있다. 명령 프롬프트에서는 명령어를 통한 조작이 가능하며, 닫기 단추를 누르거나 Exit를 입력해 종료할 수 있다.
돋보기는 Windows 로고 + 더하기를 통해 실행할 수 있고, -를 통해 창을 축소할 수 있고 esc나 닫기 단추를 눌러 종료할 수 있다.
스티커 메모는 Sticky Notes를 입력해 실행할 수 있다. +를 눌러 메모를 추가하고 휴지통 모양을 클릭해 삭제, ...을 눌러 설정할 수 있고, Ctrl+B를 통해 굵게 I 기울이기, U 밑줄, T 취소선
인쇄
프린터 설치/제거는 제어판 - 하드웨어 - 프린터 - 프린터 추가 / 마우스 우클릭 후 제거
컴퓨터에 직접 연결된 것을 로컬, 공유기를 통해 연결된 것을 네트워크 프린터
자동으로 문서를 보내는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라 하며 1대만 존재하고 바로 가기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다.
스풀 기능이란 인쇄 내용을 하드디스크에 임시로 보관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풀을 통해 우리는 병행처리를 할 수 있다. 다만 병행 처리를 하기 때문에 인쇄 속도는 느려지지만 큰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 스풀은 운영체제가 관리한다.
프린터 공유는 여러 컴퓨터에서 한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판
제어판이란 Windows 운영체제 작업환경에 도움이 되는 여러가지 환경 설정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Windows 시스템의 제어판을 실행하거나 실행창에 control을 입력하여 실행할 수 있다. 제어판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보는 기준은 세 가지로 범주로 보기, 큰아이콘으로 보기, 작은 아이콘으로 보기가 있다. 범주를 기준으로 제어판에서 할 수 있는 작업은 시스템 및 보안, 사용자 계정, 네트워크 및 인터넷, 모양 및 개인 설정, 하드웨어 및 소리, 시계 및 국가, 프로그램, 접근성이 있다.
시스템 및 보안
사용자 계정
네트워크 및 인터넷
모양 및 개인 설정
하드웨어 및 소리
시계 및 국가
프로그램
접근성
장치관리자(큰 아이콘, 작은 아이콘)
마우스(큰 아이콘, 작은 아이콘)
관리도구(Windows 관리 도구) (큰 아이콘, 작은 아이콘)
시스템에서는 컴퓨터 이름이 무엇인지, 메모리 크기나 원격 지원 연결에 대한 내용, 컴퓨터 운영체제에 대한 내용 등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키보드에서 커서 깜빡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설정
설정은 컴퓨터를 구성하는 앱과 하드웨어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시작 - 설정을 통해 실행할 수 있다. 설정에서 할 수 있는 작업은 시스템, 장치, 전화, 네트워크 및 인터넷, 개인 설정, 앱, 계정, 시간 및 언어, 게임, 접근성, 검색, 개인 정보, 업데이트 및 보안이다.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에서 해상도를 설정하고 야간 모드를 설정하거나 텍스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개인 설정에서는 배경화면, 테마 컬러, 잠금화면 배경, 또는 배경 색, 소리, 마우스 커서 등에 대해 설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우리는 컴퓨터가 두 개 이상 연결된 경우 이를 네트워크라 부른다. 네트워크에 관한 설정은 제어판의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에서 가능하다. 개인설정 - 테마 - 바탕화면 아이콘 설정에서 네트워크에 체크하면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어댑터 설정 변경을 통해 로컬 영역 연결 속성(또는 Wi-Fi)에 들어가면 ① 클라이언트 ② 서비스 ③ 프로토콜로 구성된 창을 확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시스템에 있는 공유 파일, 프린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서비스는 파일과 프린터에 대한 공유, 여러가지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프로토콜은 통신에 사용되는 규약을 의미하며, 다른 시스템과 상호 통신을 위해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인터넷 프로토콜 TCP/IP
TCP/IP란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TCP는 신뢰성, 그리고 연결형 전송, IP는 비신뢰성, 그리고 비연결형 전송이다. 이에 대한 설정은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 로컬 영역연결 - 속성에서 가능하다. 속성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TCP/IP를 클릭하면 나오는 창에서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를 확인할 수 있다. ip는 주소라 생각할 수 있다. 여러 대의 컴퓨터가 있을 때 그룹을 나누기 위해서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 게이트웨이는 외부와 내부를 구분하는 통로 주소라 생각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련 DOS 명령어
- ipconfig : ip 주소를 확인하는 명령어
- Ping : 서버와의 접속 여부 연결 확인
- tracert : 연결 경로 추적
- nslookup : 도메인 주소를 입력해 ip 주소를 알아내는 명령어
- nbtstat : ip주소가 충돌할 때 어디서 충돌하는지 알아내는 명령어
- net view : 특정 컴퓨터 시스템에 공유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의 이름을 보여주는 명령어
무선랜 :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연결시키기 위한 이런 장비에 대한 내용을 설정하는 것
홈그룹 : Windows10 1806 버전에서 삭제되었음.
컴퓨터 시스템 관리
컴퓨터
컴퓨터는 어원인 compute를 생각할 때 계산을 하는 기계 즉, 전자 계산기라 할 수 있다. 이를 나타내는데 있어 EDPS, ADPS라 말하기도 한다. 둘 다 자료 처리를 하는 장치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컴퓨터의 기본원리
컴퓨터는 기본원리는 이진법과 GIGO라 할 수 있다. 컴퓨터는 이진법, 0과 1로 모든 것을 나타내고, GIGO, 컴퓨터는 논리 프로세스에 의해 운영되기 때문에 결함이 있는, 심지어는 터무니없는 출력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GIGO는 컴퓨터의 수동성, 컴퓨터의 출력은 오로지 입력에 의해 좌우됨을 나타낸다.
컴퓨터 특징
컴퓨터의 특징은 자동성, 정확성, 신속성, 호환성, 대량성, 범용성을 예로 들 수 있다.
컴퓨터 구성
컴퓨터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고 있는 기계 장치를 의미하며, 크게 본체와 주변 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본체는 다시 중앙 처리 장치(CPU)와 주기억 장치(Main Memory)로, 주변 장치는 입력 장치, 출력 장치, 그리고 보조 기억 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컴퓨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문제 해결에 이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응용 소프트웨어로 구분할 수 있다.
컴퓨터의 기능
컴퓨터의 기능은 입력, 출력, 저장, 연산, 제어를 예로 들 수 있다.
컴퓨터 발전과정
천공카드 - 마크1(기계식) - 애니악(ENIAC, 전자식, 덧셈 뺄셈 전환이 불편함) - EDSAC(프로그램 내장 방식, 전환 용이) - EDVAC - UNIAC(상업용, 민간용, 인구조사에 사용됨)
컴퓨터 세대별 발전과 특징
세대 | 주요 소자 | 주기억장치 | 특징 |
제1세대 | 진공관 | 자기 드럼 | 기계어 사용, 하드웨어 중심, 일괄처리 시스템 |
제2세대 | 트랜지스터(TR) | 자기 코어 | 고급언어 개발, 운영체제 도입, 온라인 실시간 처리, 다중 프로그램 |
제3세대 | 집적 회로(IC) | 집적 회로(IC) | 시분할 처리, 다중처리, OCR, OMR, MICE, MIS 도입 |
제4세대 | 고밀도 집적 회로(LS) | 고밀도 집적 회로(LS) | 개인용 컴퓨터 개발, 마이크로프로세서 개발, 네트워크, 분산 처리 |
제5세대 | 초고밀도 집적 회로(VLS) | 초고밀도 집적 회로(VLS) | 인터넷, 인공지능, 퍼지 이론, 패턴 인식, 전문가 시스템 등 신기술 개발 |
집적 회로의 집적도에 따른 크기 순서(작음 -> 큼) : SSI(100) - MSI(1000) - LSI(10000) - VLSI(100000) - ULSI(1000000)
연산 속도 단위 : ms(10^-3) - us(10^-6) - ns(10^-9) - ps(10^-12) - fs(10^-15)
컴퓨터의 분류
- 데이터 취급에 따른 분류
-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 처리 능력에 따른 분류
- 마이크로 컴퓨터 : 마이크로 프로세서(MPU)를 CPU로 사용하는 컴퓨터로 네트워크에서 주로 클라이언트 역할을 한다. 여기에 속하는 컴퓨터로는 워크스테이션, 데스크톱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가 있다.
자료와 정보의 개념
자료는 순수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데이터를 가공한 것을 정보라 할 수 있다. 컴퓨터가 자료를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것도 가공의 한 형태라 볼 수 있다. 컴퓨터는 CPU에서 자료를 처리한다.
LIPS (Logical Inference Per Second) | 1초 동안 실행 가능한 논리적 추론 횟수 |
KIPS (Kilo Instruction Per Second) | 1초 동안 1000개의 연산을 수행 |
MIPS (Million Instruction Per Second) | 1초 동안 1백만 개의 연산을 수행 |
FLOPS (FLoating-point Operation Per second) | 초당 수행 가능한 부동 소수점 연산 |
MFLOPS (Mega FLoating-point Operation Per second) | 초당 1백만 회 수행 가능한 부동 소수점 연산 |
GFLOPS (Giga FLoating-point Operation Per second) | 초당 10억 회 수행 가능한 부동 소수점 연산 |
- 비집중처리 시스템 : 자료가 발생하는 곳에 컴퓨터를 설치하는 시스템
- 집중처리 시스템 : 자료를 중앙 컴퓨터에 모아 처리하는 시스템
- 분산처리 시스템 : 여러 대의 컴퓨터가 나누어 자료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자료가 공유되어야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구축을 전제로 한다.
- 동배간 시스템(P2P) : 모든 컴퓨터를 동등하게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에 소속된 컴퓨터들은 어느 것이든 서버가 될 수 있으며, 동시에 클라이언트도 될 수 있다.
- 물리적 단위 : 실제 물리적 장치에서 사용되는 단위이다.
- 논리적 단위 :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하는데 사용되며 포렌식 관점에서 분석의 대상이 되는 최소단위이다.
자료의 표현 방식
- 내부적 표현
- 외부적 표현
- 패리티 체크 : 비트열 오른쪽에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홀 짝을 검사해 오류를 검출한다. 오류를 정정하지 못 한다.
- 해밍코드 : 오류를 정정할 수 있다.
- CRC(순환 중복 검사) : 미리 정해진 다항식을 적용하여 오류를 검출한다.
- 블록합 검사 : 패리티 체크의 단점을 보완한 방식
- 정 마크 부호 방식
주소지정방식
- 접근 방식에 따른 주소지정방식
- 계산에 의한 주소지정방식
- 레지스터 주소지정방식
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을 통제하고 프로그램의 연산을 실행하고 처리하는 핵심적인 컴퓨터 제어장치, 혹은 그 기능을 내장한 칩을 의미한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CPU 성능 평가 단위
- MIPS(Million Instruction Per Second) : 1초 동안 처리할 수 있는 명령의 개수를 100만 단위로 표시함
- FLOPS(Floating-point Operations Per Second) : 1초 동안 처리할 수 있는 부동 소수점 연산의 횟수를 표시함
- 클럭(Clock) : 1초 동안 발생하는 클럭 펄스의 주파수를 표시함
- 메가헤르츠(MHz) : 중앙처리장치가 동작하는 클럭 속도의 단위로, 전기적 주파수의 단위를 표시함
제어장치(CU : Control Unit)
제어장치는 레지스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감시하고 ALU(연산장치)의 동작을 지시하는 장치이다. PC, IR, 명령 해독기(Decoder), 부호기(Encoder), MAR, MB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번지(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명령 레지스터(IR : Instruction Register) : 현재 수행 중인 명령어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명령 해독기(Instruction Decoder) :수행해야 할 명령어를 해석하여 부호기로 전달하는 회로
- 부호기(Encoder) : 명령 해독기에서 전송된 명령어를 제어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
- 번지 해독기(Address Decoder) : 명령 레지스터로부터 보내온 번지(주소)를 해석하는 회로
- 번지 레지스터(MAR : Memory Address Register) :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기억 레지스터(MBR : Memory Buffer Register) : 내용(자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연산장치(ALU : Arithmetic and Logical Unit)
연산장치는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마이크로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로, 연산에 필요한 자료를 입력받아 산술, 논리, 관계, 이동(Shift), 연산 등 다양한 실제적 연산을 수행한다.
- 가산기(Adder) : 2진수 덧셈을 수행하는 회로
- 보수기(Complementer) : 뺄셈을 수행하기 위하여 입력된 값을 보수로 변환하는 회로
- 누산기(Accumulator) : 중간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
- 데이터 레지스터(Data Register) : 연산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프로그램 상태 워드(PSW : Program Status Word) : 명령어 실행 중에 발생하는 CPU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 레지스터(Status Register)
- 인덱스 레지스터(Index Register) : 유효 번지를 상대적으로 계산할 때 사용하는 레지스터
- 베이스 레지스터(Base Register) : 유효 번지를 절대적으로 계산할 때 사용하는 레지스터
레지스터(Register)
레지스터는 비트 하나를 저장할 수 있는 플립플롭(flip-flop)의 모임으로, 중앙 처리 장치 내에 있는 소규모의 임시기억장소이다. 레지스터의 크기는 워드(Word) 크기 및 메모리 용량과 관계가 있으며, 레지스터는 메모리 중 가장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란 제어장치와 연산장치가 하나로 통합된 집적회로를 의미한다. 설계방식(명령어구성방식)에 따라 RISC와 CISC로 분류할 수 있다.
- RISC : 단순 명령어 세트를 지원하는 프로세서로 명령어 길이가 모두 동일하며 종류가 적고 레지스터 수가 많아 처리속도가 빠르다. 명령어의 길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파이프라인 구현(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
- CISC : 복잡한 명령어를 지원하는 프로세서로 명령어 길이가 가변적이고 종류가 많아 처리속도가 느리다.
버스란 메인보드 내에서 프로세서, 메모리, 주변장치들을 서로 연결하여 시스템이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데이터 전송역할을 하는 일종의 통로이다.
- 사용 용도에 따른 분류
- 신호 기능에 따른 분류
- ROM(롬) : 읽기만 가능하며 쓰기는 불가능하며 비휘발성이다.
- RAM(램) : 읽기와 쓰기 모두 가능하며 휘발성이다.
보조기억장치
- 자기테이프 : 순차처리방식(SASD), 비용저렴, 대용량데이터 저장 가능, 레코드 단위 처리, 레코드와 레코드 사이의 공백을 IRG(Inter Record Gap), 블록 사이의 공백을 IBR(Inter Block Gap)이라 부름, IBR 사이 논리 레코드의 개수를 블록화 인수(BF)라 부름.
- 자기디스크 : 대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저장매체로 둥근 원판의 양면에 자성 물질을 입혀 자화된 상태를 읽고/쓰기 헤드(Read/Write Head)가 감지한다. 순차처리와 비순차 처리가 모두 가능하다.
- 하드디스크 : 충격에 약함, 소음 심함
- 광디스크 : 맨 아래, 맨 위 장은 사용할 수 없음
- SSD : 무소음, 경량화, 소형화, 하드디스크 대용
- 기타메모리
입력장치
- 키보드
- 마우스
- OMR(Optical Mark Recognition, 광학 마크 인식)
-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광학 문자 인식)
- 자기 잉크 문자 판독기(MICR : 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
- 바코드 판독기(BCR : Barcode Reader)
- 스캐너 : 사진
- 디지타이저 : 설계도면
- 태블릿
- 디지털 카메라
출력장치
- 모니터
- 프린터
- 플로터 : 설계도면을 출력할 때 사용한다.
- com : 컴퓨터로 작업한 것을 마이크로 필름에 저장한다. 반영구적 보존이 가능하며, 고속 인쇄, 대량 복사가 가능하다.
- 인쇄 속도 단위
메인보드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들이 장착되고 연결되는 기판으로 마더보드, 주기판이라고도 불린다. 메인보드는 칩셋(Chip Set)과 버스로 구성되어 있다. 칩셋은 컴퓨터 메인 보드 내의 여러 장치를 통합 제어하고 역할을 조율한다.
롬바이오스(ROM-BIOS : ROM - Basic Input Output System)
롬바이오스는 바이오스, 또는 펌웨어라고도 불린다. 펌웨어는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는 소프트웨어로, 소프트웨어지만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어 하드웨어의 일부분으로 볼 수 있다. ROM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어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관리하며 PC를 부팅할 때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점검하고 구성하고 주변 장치들을 초기화한다. 읽기/쓰기를 할 수 있는 플래시 롬(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기 때문에 내용을 쉽게 변경, 추가, 삭제할 수 있다.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컴퓨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의 정보를 알려주는 장치로 다른 램에 비해 전력소비가 매우 적어 아주 적은 전력으로도 내용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CMOS를 통해 어떤 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어떻게 제어해야 할 지 알 수 있으며 컴퓨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환경을 CMOS에 저장하는 것을 CMOS 셋업이라고 한다. CMOS는 BIOS에 내장되어있다.
PORT: 연결하기 위한 장치
- 직렬 : 한 비트씩 전송하는 방식으로 마우스나 모뎀 연결에 사용된다. 느리지만 저렴하다
- 병렬 : 8 비트씩 전송하는 방식으로 프린터나 Zip 드라이브 연결에 사용된다. 빠르지만 비싸다
- PS/2 : PS/2용 마우스, 키보드 연결에 사용된다.
- USB : 기존의 직렬, 병렬, PS/2 포트를 통합한 직렬 포트의 일종으로, 주변장치를 최대 127개까지 연결할 수 있다.
- IEEE 1394 : 애플 사에서 맥킨토시용으로 개발한 직렬 인터페이스로 컴퓨터 주변장치 뿐만 아니라 가전 기기를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다. 최대 63개까지 연결 가능하다.
- IrDA : 케이블 없이 적외선을 사용하여 주변장치와 통신하는 방식으로, 노트북에 사용된다.
인터럽트 :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작업을 일시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우선 처리한 후 실행중인 작업으로 복귀하는 작업
- 하드웨어 인터럽트(외부 인터럽트)
- 내부 인터럽트 : 잘못된 명령이나 잘못된 데이터를 사용할 때 발생하며 Trap이라고도 부른다
-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 CPU 내부에서 자신이 실행한 명령이나 CPU의 명령 실행에 관련된 모듈이 변화하는 경우 발생한다.
교착상태(Deadlock) :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서로의 작업이 끝나기만을 기다리고 있어 둘 다 영원히 끝나지 않는 상황
- 필요조건
채널(Channel): CPU을 가진 소형 처리기(IOP)를 DMA 위치에 두고 입출력에 관한 제어 사항을 전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입출력 명령은 단지 데이터의 송수신을 개시 시키는 지시만을 하고 그 후 입출력 장치의 제어는 채널이 담당한다. 채널과 CPU는 동시에 동작 가능하며, 가장 고성능의 입출력 방식이다. 하나의 입출력 명령어에 DMA와는 달리 여러 개의 블록을 입출력할 수 있다.
- 고정 채널 제어 : 입출력 장치가 특정 채널에 고정되어 있어서 다른 채널 휴지상태라도 사용할 수 없다. 하드웨어 전체를 활용할 순 없으나 단일 종류의 장치인 경우 그들의 제어는 공통점이 많으므로 하드웨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가변 채널 제어 : 하드웨어 자원을 최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회로의 비용이 비싸며, 회로연결의 제어가 복잡하다.
DMA(Direct Memory Access): 입출력 장치가 CPU 레지스터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주기억장치에 접근하여 입출력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소프트웨어 종류
- 시스템 소프트웨어
- 응용 소프트웨어
운영체제는 제어 프로그램과 처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프로그램은 시스템의 작동을 감시하고(Supervisor), 작업 순서를 지정하며(Job Control Program), 데이터를 관리한다. 처리 프로그램은 제어 프로그램의 지시를 받아 사용자가 요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비스 프로그램(Service Program), 문제처리 프로그램(Problem Program), 언어 번역 프로그램(Language Translator Program)이 있다.
사용권에 따른 소프트웨어 분류
- 상용 소프트웨어 : 비용을 주고 구입하는 소프트웨어
- 공개 소프트웨어 : 무료
- 셰어웨어 : 일정 기간만 무료
- 에드웨어 : 광고 보는 조건으로 무료
- 데모버전 : 홍보용
- 트라이얼 버전 : 일정 기간만 기능이 제한된 형태로 사용(체험판)
- 알파버전 : 개발 초기에 있어 성능이나 사용성 등을 평가하기 위한 테스터나 개발자를 위한 버전(내부 테스트)
- 베타버전 : 일반인들에게 배포하여 테스트(외부 테스트)
- 패치 프로그램 : 배포된 상태에서 성능 향상을 위해 재배포한 프로그램
- 번들프로그램 : 사은품
유틸리티 :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컴퓨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로 대표적으로 압축 프로그램이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
- 저급 언어
- 고급 언어
언어 번역 과정
언어 번역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소스 코드를 담고 있는 원시 프로그램(Source Program)이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번역(Compile)되어 목적 프로그램(Object Program)이 생성된다. 링커(Linker)를 통해 여러 목적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만들기 위해 링크(Link)하여 실행파일을 생성하고, 로드 모듈(Load Module), 로더가 실행 파일을 주기억 장치(RAM)에 로딩(적재)하여 CPU가 실행파일을 실행하도록 한다.
언어 번역 프로그램
- 컴파일러(Compiler) : 고급 언어 -> 기계어
- 어셈블러(Assembler) : 어셈블리어 -> 기계어
- 인터프리터(Interpreter) : 프로그램을 통째로 번역하지 않고 줄 단위 컴파일
프로그램 작성기법
- 구조적 프로그래밍 : goto문을 사용하지 않고, 순서, 선택, 반복 3가지 논리 구조를 사용한다.
- 하향식 프로그래밍 : 순서대로 진행됨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객체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래밍 기법으로 크고 복잡한 프로그램 구축이 어려운 절차형 언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확장성이 좋고 재사용이 용이하다.
- 비주얼 프로그래밍 : 기존 문자 방식의 명령어 전달 방식을 기호화된 아이콘 형태로 바꿔 대화형으로 쉽게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ex : Visual BASIC, Visual C++, Delphi, Power Builder)
웹 프로그래밍 언어
- HTML : 인터넷 표준 문서인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로, 데이터 타입이 없는 단순한 텍스트이므로 호환성이 좋고 사용이 편리하다.
- VRML(가상현실 모델링 언어) : 웹에서 3차원 가상공간을 표현하고 조작할 때 사용한다
- PEREL : 문자 처리가 강력하며, 이식성이 좋다.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CGI
- SGML : 멀티미디어 전자 문서를 다른 기종 시스템에 전송하거나 저장 및 자동 처리하기 위한 언어
- JAVA
- 자바 스크립트 : 자바 애플릿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언어로 코드가 HTML 문서에 포함되어 있다.
- 자바 애플릿 : 웹브라우저 환경에서 작동하는 작은 JAVA 프로그램
- XML : HTML의 단점을 보완한 언어로 문서들을 상호교환할 수 있다.
- ASP : 동적인 페이지 구현
- PHP : 웹 서버에서 작동
- JSP : 자바로 만들어진 서버에서 작동하는 스크립트 언어
- UML : 객체 지향 방법론의 분석 설계용 모델링 언어
- DHTML : 동적인 HTML
PC유지와 보수
- 직사광선 피하기
- 습기 적은 평평한 곳에 설치
- 벽면에서 30c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
- 통풍이 잘 되고 먼지 발생이 적은 곳에 설치
- 적정온도 : 18도 ~ 24도
- 적정 습도 50~60%
- 조도 300LUX 이상
- 표시화면 밝기 500LUX 정도
- UPS : 정전대비
- 40~50분 사용하고 10분 휴식하기
- 하루 작업 시간은 4~5시간이 적당함
- 일주일에 5일 작업이 적당함
- 팔꿈치 각도는 90도 이상
- 손등과 팔은 수평
- 무릎 각도도 90도 이상
- 모니터 눈높이는 10~20도 아래
- 보안경 설치
- 원고 받침대는 모니터 오른쪽에 두기
- 속도가 저하될 때 바이러스 의심
- 백신 최신 버전 유지
- '삑' 소리와 함께 동작이 안될 경우 RAM이 덜 꼽힌 것일 수 있다
- '삑' 소리가 길게 한 번 난 후 짧게 세 번 나는 경우 그래픽카드가 덜 꼽힌 것일 수 있다.
PC 업그레이드
-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 Windows 7 -> Windows 10
-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윈도우에서 PC관리
- 디스크 관리
- 시스템 최적화 관리
- 백업 및 복원(제어판 - 백업 및 복원)
- 시스템 정보 : 하드웨어 리소스,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환경 확인 가능
통신이란 송수신 간에 약속된 수단 및 절차에 의해 채널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 단말 장치 : 원격지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컴퓨터로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입출력장치로 입출력 기능과 에러 제어 기능이 있다.
- 데이터 처리계 : 데이터 처리에 사용되는 하드웨어와 통신 소프트웨어(컴퓨터)
- 데이터 전송계 : 데이터의 이동을 담당하는 것으로 단말장치, 전송회선, 통신 제어 장치, 교환장치 등이 포함된다.
정보 전송 방식
- 단향 방식 : 한 쪽은 수신만, 다른 한 쪽은 송신만 가능한 방식
- 반이중 방식 : 양 측 모두 송수신이 가능하지만 동시에는 불가능한 방식
- 전이중 방식 : 양 측 모두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한 방식
네트워크 운영 방식
- 중앙 집중 방식 방식 : 작업에 필요한 모든 처리를 담당하는 중앙 컴퓨터와 데이터의 입/출력 기능을 담당하는 단말기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프레임에서 많이 사용하던 방식으로 최근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정보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로 구성되어 있다. 서버와 클라이 언트가 모두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어 분산 처리 환경에 적합함
- 동배간 처리 방식 : 모든 컴퓨터를 동등하게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에 소속된 컴퓨터들은 어느 것이든 서버가 될 수 있으며, 동시에 클라이언트도 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 혹은 개인용 컴퓨터를 단말기로 사용하는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구성에 많이 사용된다.
통신망의 종류
- LAN(근거리 통신망) - 자원 공유를 목적으로 회사, 학교, 연구소 등의 구내에서 사용하는 통신망으로 전송 거리가 짧아 고속 전송이 가능하며, 에러 발생률이 낮다
- WLAN(무선랜, Wireless LAN) : 케이블 대신 전파를 이용해 컴퓨터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
-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 : LAN과 WAN의 중간 형태로, LAN의 기능을 충분히 수용하면서 도시 전역 또는 도시와 도시 등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통신망으로 LAN과 마찬가지로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고 있다.
- WAN(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
- VAN(부가가치 통신망) : 기간 통신 사업자로 부터 통신 회선을 빌려 기존의 정보에 새로운 가치를 더해 다수의 이용자에게 판매하는 통신
- ISDN : 문자, 음성, 동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디지털화된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전송하는 통신망으로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빠르고,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다.
- B-ISDN : 광대역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음성, 고해상도의 도영상 등 다양한 서비스를 디지털 통신망을 이용해 제공하는 고속 통신망으로 비동기식 전달 방식을 사용하여 150~600MbpS의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를 디지털로 전송할 수 있다.
- WLL(wireless local loop, 무선 가입자 회선) : 전화국과 가입자 단말 사이의 회선을, 유선 대신 무선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방식이다.
네트워크 관련 장비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 Network Interface Card) :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로, 정보 전송 시 정보가 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정보 형태를 변경한다. 이더넷 카드(LAN 카드) 혹은 네트워크 어댑터라고 불린다.
- 허브 :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고, 각 회선을 통합하여 관리한다.
- 리피터 :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쇠하는 신호의 장거리 전송을 위해서 수신한 신호를 재생하거나 출력 전압을 높여 전송한다.
- 브리지 : 허브와 허브를 연결하고, 물리적으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사용한다. 프로토콜 변환 등 복잡한 처리가 불가능하여 동일한 프로토콜을 연결할 때 사용한다.
- 라우터 : 최적의 경로를 설정한다.
- 게이트웨이 : 프로토콜이 전혀 다른 네트워크 사이를 결합하는 장비이다.
인터넷의 개요
- 인트라넷 : 회사 내부망
- 엑스트라넷 : 여러 기업 내부망 엮은 것
- 그룹웨어 : 여러 사람이 공동 작업을 위해 데이터 공유목적 프로그램
인터넷 연결 방법
- 전용선 : 컴퓨터를 직접 인터넷에 연결, 항상 인터넷 연결, 시간 구애 x
- 전화선과 모뎀 : ISP 서버에서 접속해 인터넷 이용
- ISDN : 회선을 통해 인터넷, 전화, 팩스 같은 다양한 서비스 이용가능
- ADSL(비대칭형 디지털 가입자 회선) : 다운 빠르고 업로드 느림
- VDSL(초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
- VoIP :인터넷 전화
- FTTH :광섬유를 일반 가정까지 연결해 데이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한 번에 고속 전송 가능
- 케이블 모뎀 : 동축 케이블 사용 10 Mbps
- 위성 인터넷 : 초고속 인터넷 방식, 오지에서 통신 가능
- 무선 인터넷
- 모뎀(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 변복조 장치) : 정보전달을 위해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원래의 신호로 복구하기 위해 복조하는 장치이다.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것을 변조, 반대의 경우를 복조라 한다.
인터넷의 주소 체계
- IPv4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의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인터넷 주소로 8비트씩 4부분, 총 32비트로 구성되어있다. 네트워크 부분의 길이에 따라 A클래스에서 E클래스까지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를 지원한다. 브로드캐스트는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전송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 IPv6 : 16비트 체계로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실시간 흐름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한다. 16비트씩 8부분, 총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콜론으로 구분하며 앞자리 0을 생략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를 지원한다.
- 도메인 네임 : IP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호스트 컴퓨터명, 소속기관명, 소속기관종류, 소속국가명 순으로 구성된다. 국가가 다른 경우에는 중복된 도메인 네임을 사용할 수 없다.
- DNS(Domain Name System) : 문자로된 인터넷 주소를 숫자로 된 IP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
-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각종 자원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표준 주소 체계로 프로토콜://호스트(서버) 주소[:포트번호][/파일경로] 의 형태로 나타난다.
프로토콜 : 통신규약
- OSI 7 계층 : 국제표준화 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
계층 | 장비(데이터단위) | 기능 | 프로토콜 | |
소프트웨어 | 응용(Application) | (메시지) | 데이터베이스, 전자우편, 기타 응용 프로그램 | HTTP, TELNET, FTP, SMTP 등 |
표현(Presentation) | (메시지) | 암호화, 압축, 데이터 재구성, 코드변환, 구문검색 | ||
세션(Session) | (메시지) | 논리적 연결 접속, 동기 제어, 오류 복구 | ||
전송(Transport) | (세그먼트) | 신뢰성 있는 전송(종단간), 흐름 제어, 네트워크 주소 지정 | TCP, UDP | |
하드웨어 | 네트워크(Network) | 라우터(패킷) | 최단 경로 설정, 오류 제어, 흐름 제어 | X.25, IP, ICMP, IGMP, ARP |
데이터링크(Data Link) | 브리지(프레임) | 신뢰성 있는 전송(인접노드간),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동기화 | HDLC | |
물리(Physical) | 허브, 리피터(BitStream) | 부조화, 변조, 랜 카드, 랜 구축 | RS-232C, X.21, V.24 |
오류 제어 : 데이터 전송 도중에 발생하는 오류(에러)를 검출한다.
흐름 제어 : 통신망에 전송되는 패킷의 수를 제어해서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RS-232C(Recommended Standard 232) : 장치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규약
DTE(단말기, Data Terminal Equipment) - 신호변환장치 - 통신회선 - 신호변환장치 - 제어장치 - 컴퓨터
V시리즈 : DTE~아날로그 통신회선 간 접속규정
X시리즈 : 디지털 교환망 간의 접속 규정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를 MAC 주소로 전환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IP 프로토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토콜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 멀티캐스트 그룹 유지를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TCP : 신뢰성, 연결형
UDP : 비신뢰성, 비연결형
HTTP : 웹 서비스를 받기 위한 프로토콜
TELNET : 원격 접속
FTP : 파일전송
SMTP : 메일 보내기
인터넷 프로토콜
OSI 7계층 |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 | 기능 |
응용 계층 | 응용 계층 (HTTP, TELNET, FTP, SMTP 등) |
응용 프로그램 간 데이터 송수신 제공 |
표현 계층 | ||
세션 계층 | ||
전송 계층 | 전송 계층(TCP, UDP) | 호스트들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 제공 |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인터넷 계층 (IP, ICMP, IGMP, ARP) |
|
데이터링크 계층 | 링크 계층 (Ethernet, Token Ring, FDDI ,ATM 등) |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 |
물리 계층 |
SNMP :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인터넷 서비스
- WWW(World Wide Web) : 텍스트, 그림, 동영상, 음성 등 인터넷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를 거미줄처럼 연결해 놓은 종합 정보 서비스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이퍼텍스트 기반으로 되어 있다. 하이퍼텍스트란 관련된 문서를 하이퍼링크로 연결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문서를 의미한다.
- 전자우편 : 인터넷을 통해 다른 사람과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 FTP(File Transfer Protocol) :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인터넷 사이에서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격 파일 전송 프로토콜
- 기타 인터넷 서비스
웹 브라우저 / 검색 엔진
- 웹 브라우저 : 웹 서버와 HTTP 프로토콜로 통신하여 사용자가 요구한 홈페이지에 접근해 웹 문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프로그램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파이어폭스 등이 있다.
- 검색 엔진 : WWW에 존재하는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게 하는 도구로 특정 웹사이트에서 제공한다.
정보통신기술 활용
- ICT 신기술
- 모바일 기기 관련 용어
- 스마트앱(어플) : 어플
- 앱스토어/플레이스토어 : 앱스토어/플레이스토어
- SNS : 소셜네트워크서비스
- 네이티브 광고 : 어떤 어플이나 콘텐츠의 일부처럼 보이게 디자인된 온라인 광고
- 스마트 플러그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하나로 전원을 On/Off 할 수 있는 IoT 기술이 적용된 것을 스마트 플러그라 함
- 앱북 : 전자책
- 킬스위치 : 원격으로 개인정보 삭제하여 불법사용을 막는 일종의 자폭 기능
- 모프 폰 : 자유로이 변형할 수 있는 휴대폰
- 플로팅 앱 : 화면을 오버레이의 팝업 창 형태로 분리 실행하는 기능
- 스마트 서명 : 웹 브라우저에서 전자서명을 할 수 있는 기술
- 모바일 오피스 : 폰으로 회사업무 처리
- 테더링/핫스팟 :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를 통해 다른 기기에서도 접속이 가능케 하는 기술
멀티미디어 :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전달하는 것. 다중 매체
- 특징
- 하이퍼 텍스트, 하이퍼 미디어
- 하드웨어
비디어 데이터 크기 구하기
640*480 해상도를 갖는 화면에서 30fs로 저장되고 픽셀당 8비트의 색깔 정보가 사용될 때 1초간 저장되는 데이터의 크기는 640*480*30*8 ≒ 9MB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 재생 소프트웨어 : Media player, 곰플레이어
- 저작 소프트웨어 : 멀티미디어를 작업하는 소프트웨어.ex 파워디렉터
- 압축프로그램 : 압축하는 프로그램
- 그래픽 기법
스트리밍 : 다운 받으면서 재생
그래픽 데이터 표현 방식
- 비트맵 : 점을 통해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확대하면 이미지가 거칠어진다. 사실적인 이미지에 표현되며 BMP, TIF, GIF, JPEG, PNG, PCX가 여기에 해당된다.
- 벡터 : 선을 통해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확대해도 이미지가 거칠어지지 않기 때문에 작은 이미지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된다. 일러스트에서 AI, WMF 방식으로 저장하는 것이 여기 해당된다.
- 3D 그래픽 : 입체감
그래픽 파일 형식
- BMP(Windows Bitmap) : 압축을 하지 않아 용량이 크다. Windows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비트맵 형식이다.
- WMF(Windows Media Foramt) : Windows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벡터 형식이다.
- TIF(Tagged Image File Format) :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의 호환을 위해 사용하는 파일 형식이다.
-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 움직인다. 256가지 색상을 표현할 수 있으며 배경을 투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무손실 압축
-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PG) : 2^24가지 표현할 수 있다. 용량을 많이 줄이며 손실 압축 기법을 사용한다. 무손실 압축 기법도 존재하나 잘 사용하지 않는다.
-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 GIF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움직이지 않으나 배경을 투명하게 할 수 있다.
- PCX(PiCture eXchange) : 페인트 브러시에서 사용하는 이미지 파일 형식
- DXF(Drawing Interchange Format) : 오토캐드에서 사용하는 자료교환형식
오디오 데이터
- WAVE(Waveform audio format) : 마이크로소프트사와 IBM이 개발한 PC용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 낮은 레벨의 모노에서부터 CD 수준의 스테레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준으로 저장할 수 있다.
-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 전자악기 음악의 연주 정보와 기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연주 통신 프로토콜로 연주 방법에 대한 명령어가 저장되어있으며 효과음을 저장할 수 없고, 연주 정보만 저장할 수 있다. 용량이 작다.
- MP3(MPEG-1 Audio Layer-3) : 소리에 대한 사람의 청각 특성을 잘 살려 압축하는 기법으로 CD 수준의 음질을 들을 수 있는 고음질 오디오 압축 표준 형식이다. MPEG 압축 방식을 사용한다.
- AIFF(Audio Interchange FIle Format) : 비압축 무손실 압축 포맷으로 Mac OS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오디오 파일 형식이다.
비디오 데이터
- AVI(Audio Video Interleave) : Windows 사의 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 없이 재생할 수 있다.
- DVI(Digital Visual Interface) : 디지털 TV를 위한 압축 기술을 Intel 사에서 멀티미디어 동영상 압축 기술로 발전시킨 것으로 최대 144:1 압축률을 지원한다.
- 퀵 타임 : Apple 사에서 개발한 동영상 압축 기술로 JPEG 압축 방식을 사용한다.
-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 국제 표준 규격으로 동영상 뿐만 아니라 오디오도 압축할 수 있다.
- ASF(Advanced Systems Format) :인터넷을 통해 오디오 비디오 생방송 수신을 지원하는 MS 사의 통합 멀티미디어 형식으로 스트리밍을 위한 표준 기술 규격이다.
- DivX(Digital Video Express) : 동영상 압축 고화질 파일 형식으로 비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 MPEG-4와 MP3를 재조합하였다.
- ram : 리얼 미디어라는 비디오 스트림 방식에서 사용하는 파일 포맷으로 실시간 전송이 가능하고 스트리밍이 가능하다. Real Player를 설치해야 한다.
MPEG
- MPEG-1 : cd같은 고용량 매체에서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형식
- MPEG-2 : dvd
- MPEG-4 : 통신, PC, 방송 등을 결합하는 복합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통합 표준
- MPEG-7 : 멀티미디어 정보 검색이 가능하다. 동영상 데이터 검색 전자상거래 등에 사용된다.
- MPEG-21 : 상기 MPEG 기술을 통합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제작, 유통 등 전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멀티미디어 활용
- DVD-ROM 타이틀 제작 : 계획 - 설계 - 저작 도구 선택 - 자료 수집 및 콘텐츠 생성 - 저작 - 테스트 - 제품화
- VOD(주문형 비디오, Video on Demand)
- VCS(화상회의 시스템, Video Conference System)
- 가상현실(VR)
- 교육(CAI) : 컴퓨터를 수업 매체로 활용
- 증강현실(AR) : 현실 + 가상
정보 사회 : 정보가 정치, 경제, 문화 등 모든 분야를 이끌어가는 원동력이 되는 사회로 정보가 사회의 중심이 된다. 정보의 생산, 처리, 유통 과정은 대부분 컴퓨터와 통신 기술을 통해 이루어진다.
- 정보 사회의 문제점 : 중앙 컴퓨터에 오류가 생기면 큰 혼란을 초래한다. 정보과다로 정보의 진위를 판별하기 어려워지고, 계층 간 격차가 발생한다. 또한 개인정보 노출이 늘어나 사생활이 노출되며 다양한 범죄나 증후군이 생겨나고 인간에 대한 소외 현상이나 비인간화 문제가 발생한다.
- 컴퓨터 범죄의 개념 및 유형 : 컴퓨터 범죄란 컴퓨터와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저지르는 불법, 비윤리적 범죄를 의미한다. 소프트웨어나 전자문서를 도난하고 불법적으로 복사하거나 컴퓨터를 이용해 금품을 횡령하고 사기를 계획하거나 음란물, 폭력물을 유통하고, 컴퓨터 바이러스를 제작하고 유포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 컴퓨터 범죄의 예방 및 대책 : 컴퓨터 범죄를 막기 위해서는 방화벽 설치로 네트워크 정보를 보호하고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한 백신을 설치하고, 가입자에게 과다한 정보를 요구하는 사이트에는 가급적 가입하지 않는다. 또한, 정보 유출에 대한 지속적인 보안 교육, 주기적인 패스워드 변경이 필요하다
정보 사회의 윤리
- 인터넷 사용 예절(네티켓) :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지켜야 할 예절을 네티켓이라 부른다.
- 모바일 기기 사용 예절(모티켓)
- 웹 페이지 설계 시 유의점
저작권 보호
- 저작권 법
- 관련 용어
- 저작권의 보호 기간 : 저작자 사후 70년, 공동 저작물의 경우 마지막으로 죽은 저작자의 사후 70년까지 저작권은 보호된다.
- 저작 재산권의 제한 : 저작재산권은 저작물을 배타적․독점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이지만, 직․간접적인 사회의 도움을 받아 저작물이 창작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권리자의 독점을 무제한 인정하는 것은 공공의 이익에 맞지 않으며, 문화발전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경우 저작재산권이 제한되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
- 컴퓨터 바이러스 : 컴퓨터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기 위해 운영체제나 저장된 데이터에 손상을 입히는 프로그램으로 디스크의 부트 영역이나 프로그램 영역에 숨어있다. 바이러스는 자신을 복제할 수 있으며 다른 프로그램을 감염시킬 수 있다.
- 바이러스 감염 증상
- 바이러스 감염 경로와 예방법
- 바이러스의 종류
- 백신 프로그램
정보 보안 개요
- 보안 요건
- 보안 위협의 유형
- 위협의 구체적인 형태
- 보안 등급
정보 보안 기법
- 사용자 인증
- 방화벽 : 네트워크 통로를 단일화하여 외부의 불법침입으로부터 내부의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내부로부터의 불법적인 해킹은 막을 수 없다. 역추적 기능이 있어 외부의 침입자를 역추적하여 흔적을 찾을 수 있다.
- 암호화
- 웹 보안
- 전자우편 보안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울 대수 기본 법칙과 간소화 (0) | 2025.02.04 |
---|---|
How to Get Unstuck When Learning to Code (0) | 2023.05.05 |